광고문의 02-724-7792

[theL생활법률] 랜섬웨어 공격협박…국내에서도 처벌되나?

[the L] 일반 '해킹'처럼 정보통신망법·형법 위반으로 처벌…징벌적 과징금 부과하는 개정법안 국회 계류

편집자주[theL생활법률]은 일상 생활에서 궁금할 수 있는 법적 쟁점에 대해 실제사례를 재구성해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 드리는 코너입니다. thel@mt.co.kr로 사례를 보내주시면 독자 여러분의 궁금증도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변호사 자문을 거쳐 기사로 답해드리겠습니다.

임종철 디자이너

PC 바이러스 랜섬웨어(Ransomware)에 대한 공포로 연일 화제다.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인 랜섬웨어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뒤,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PC 안에 있던 파일들의 확장자명을 바꿔 암호를 알지 못하면 잠겨버린 파일을 열 수 없게 만드는 랜섬웨어, 이에 대한 법적 처벌은 어떻게 될까.

 

아직 우리나라엔 법적으로 '랜섬웨어'로 협박한 뒤 돈을 요구하는 행위와 관련된 명확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랜섬웨어 유포행위와 협박을 통한 금전갈취 중에서 유포행위를 처벌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의 해킹 관련 규정인 제48조 제2항을 적용할 수 있다. 


정보통신망법 제48조 제2항은 '누구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정보통신시스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등을 훼손·멸실·변경·위조하거나 그 운용을 방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하 '악성프로그램'이라 한다)을 전달 또는 유포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반하는 사람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동법 제70조의2)된다.

 

한편, 랜섬웨어 바이러스를 침투시킨 뒤 제작자가 PC의 주인으로부터 금전적 이익을 얻은 뒤 닫힌 프로그램을 열 수 있게 해 주는 '행위'는 별도로 범죄가 될 수 있다. 이 부분은 형법상 '공갈죄'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


형법 제350조에서 규정하는 '공갈죄'는 사람을 폭행하거나 협박해 재물을 교부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얻는 때에 성립하는 범죄다. 때문에 바이러스를 침투시킨 사람이 이후 금전을 받고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면 공갈을 통한 재산상 이익 취득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국회에는 랜섬웨어 범죄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가능하게 하고 처벌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계류 중이다.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개정 법안은 랜섬웨어로 얻은 이익의 10~30배범위에서 징벌적 과징금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피해자에 대해서도 최대 3배로 징벌적 손해배상를 하도록 하고 있다. 개정안에는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등을 함호화해서는 아니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관련기사


목록
 
모든 법령정보가 여기로